2025. 5. 3. 09:18ㆍ마사지 지식
서론: 딥티슈 마사지와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란 무엇인가?
**딥티슈 마사지(Deep Tissue Massage)**는
근막과 심부 근육층(Deep Muscle Layers)을 대상으로
강한 압력과 느린 스트로크를 통해 긴장과 유착을 풀어내는 고급 테크닉입니다.
이 가운데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Trigger Point Therapy)**는,
특정한 부위(트리거 포인트, Myofascial Trigger Points)에 직접 압박을 가하여
통증 완화와 기능 회복을 목표로 하는 특화된 치료법입니다.
《Travell &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Janet G. Travell, David G. Simons 저)에 따르면,
트리거 포인트란 "압통(壓痛)을 동반하고, 다른 부위로 연관통(放散痛, referred pain)을 유발하는 과민성 근막 부위"를 의미합니다.
본론
1. 트리거 포인트의 정의와 생성 원리
- 정의:
트리거 포인트는 근막 또는 근섬유 내에 형성된- 국소적 근육 경직
- 산소 및 대사물질 축적
- 신경 감작 증가
와 같은 생리적 변화를 동반한 초점성 긴장 부위입니다.
- 생성 원리:
지속적인 근육 긴장, 과사용, 외상, 스트레스 등이
근섬유의 미세손상을 초래하고,
이 부위에 만성적 혈류 장애(ischemia)와 대사 불균형이 발생하면서
통증과 운동 제한을 유발하는 트리거 포인트가 형성됩니다.
📚 참고 자료: 《Travell & Simons'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2.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의 목적과 효과
국소 통증 완화 | 트리거 포인트 직접 압박을 통해 신경 과민성과 통증 반응을 차단 |
연관통 제거 | 연관 통증 패턴을 감소시켜 잘못된 감각 회복 |
근막 긴장 해소 | 유착된 근막과 근섬유의 정상적인 신축성 복원 |
순환 개선 | 국소 혈류 증가로 산소 공급 및 노폐물 제거 촉진 |
운동 기능 회복 | 통증 감소에 따른 관절 가동성 및 근육 기능 향상 |
특히, 만성 근막 통증 증후군(Myofascial Pain Syndrome) 환자에서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는 핵심적 치료 전략으로 인정받고 있습니다.
3.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의 주요 기법
지속적 압박(Static Compression) | 손가락, 팔꿈치 등을 이용해 트리거 포인트를 일정 압력으로 눌러 유지 | 승모근, 대퇴근 통증 관리 |
스트로킹(Gliding Strokes) | 압박 후 근섬유 방향으로 부드럽게 밀어 조직 이완 | 척추 기립근, 장요근 |
스트레칭(Stretching) | 트리거 포인트 해소 후 대상 근육을 수동적/능동적으로 스트레칭 | 햄스트링, 종아리 근육 |
심호흡 연계(Breath-Integrated Pressure) | 압박 시 대상자의 심호흡에 맞춰 압력을 조절하여 이완 유도 | 요부, 견갑대 근육 |
📚 참고: 《Muscles: Testing and Function》(Florence Peterson Kendall 저)
4.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 실제 적용 방법
- 트리거 포인트 탐지:
손끝 또는 손바닥으로 근육을 촉진(palpation)하여
국소적 경직 부위와 통증 방사 패턴을 확인합니다. - 압박 기술:
- 일정한 압력으로 20~90초간 유지합니다.
- 압박 중 강도는 수용자의 통증 허용 수준(5~7/10) 안에서 조절합니다.
- 점진적으로 압력을 증가시키되, 과도한 통증을 유발하지 않도록 주의합니다.
- 후처리 관리:
압박 후에는 반드시 가벼운 스트레칭과 부드러운 마사지(에프러리지 등)를 통해
근육을 이완시키고, 혈류를 정상화합니다. - 주의사항:
- 급성 외상 부위, 출혈성 질환, 심한 골다공증 환자에게는 적용 금지
- 신경학적 손상 징후(감각 저하, 근력 약화)가 있을 경우 전문적 평가 필요
결론: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의 가치와 임상적 의의
트리거 포인트 테라피는
단순한 통증 완화를 넘어
심층 근막 구조의 병리적 변화를 직접 겨냥하는 정밀한 치료법입니다.
- 만성 근막 통증
- 스포츠 부상 후 회복
- 자세성 불균형 교정
- 직업성 근골격계 장애 관리
등 다양한 임상 상황에서
정확한 진단과 숙련된 압박 기술을 통해 탁월한 치료 성과를 보여주고 있습니다.
트리거 포인트를 이해하고 다룰 수 있다는 것은,
마사지 테라피스트가 **근거 중심 치료(Evidence-Based Practice)**로 나아가는 첫걸음이기도 합니다.
참고문헌
- Travell, Janet G., Simons, David G. Myofascial Pain and Dysfunction: The Trigger Point Manual.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Beck, Mark F. The Theory and Practice of Therapeutic Massage. Cengage Learning.
- Kendall, Florence Peterson. Muscles: Testing and Function. Lippincott Williams & Wilkins.
- Fritz, Sandy. Fundamentals of Therapeutic Massage. Mosby.
'마사지 지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에너지 흐름을 깨우는 전통의 힘, 타이 마사지 센 에너지 라인(Sen) 지압 집중 탐구 (2) | 2025.05.05 |
---|---|
결합조직 깊숙이 풀어내는 정밀 테크닉, 딥티슈 마사지와 근막이완요법(MFR) 완전 분석 (0) | 2025.05.03 |
세포를 흔들어 깨우는 섬세한 치유, 바이브레이션(Vibration) 마사지 완벽 해설 (2) | 2025.05.02 |
활력을 깨우는 리드미컬한 손끝, 타포트먼트(Tapotement) 마사지 집중 분석 (0) | 2025.05.01 |
심층 조직을 깨우는 정밀한 테크닉, 프릭션(Friction) 마사지 완전 해부 (0) | 2025.04.30 |